[김창준의 정보 수집 대화법] 말을 잘해야 한다: 말을 잘 하는 것이 오히려 불리하게 작용하는 이유
간단한 내용 정리
- 말을 잘하면, 대답도 그 기준에 맞춰서 말을 잘하려고 하게 되고, 긴장하게되고 피상적인 얘기를 하게된다.
- 대화하는 사람이 긴장하였는지를 확인하면서 대화하는 것이 필요하다.
- 질문자가 프로페셔널하게, 말하려고 하면 답변자도 긴장을 한다. 상대는 내가 펼쳐 놓은 판에 그대로 오기 대문에 역동과 관계에 집중해야한다.
- 편안하게 대화하여 과거에 있었던 경험을 떠올리게 하라
느낀점
- 면접 상황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, 무섭게 쏘아 붙이는 쪽, 편안하게 분위기를 만들고 대화를 시도하는 쪽이 있었다.
- 당연스럽게도 무섭게 쏘아 붙이는 쪽에선, 미리 준비된 좋은 말을 잘 포장해서 말했던 것 같고, 모르는게 나오면 당황해서 모른다고 했던 것 같다
- 반면 편안한 분위기에서는 좀 더 차분하게 내 생각을 잘 전달 할 수 있었던 것 같다.
- 위의 내용은 대화를 할 때, 단순히 나의 목적을 충족시키 위한 대화가 아닌, 상대방을 좀 더 배려할 수 있는 대화가 되야한다고 말한다.
- 특히, 내가 갑의 입장 일 때, (면접관 혹은 선배, 형 등등) 어떻게 하면 을 입장인 상대의 마음을 편하게 하고 진실성 있는 답변을 얻어 낼 수 있는지에 대한 연습과 고민이 필요하다.